메인 콘텐츠로 건너뛰기

근무 승인 · 알림 설정

이번 주에 업데이트함

연장근무 및 야간근무 등이 발생했을 때 설정된 승인 · 참조 결재선을 따라 승인 요청이 발생되게 설정할 수 있어요.

근무 유형 및 정책 설정 권한을 부여받은 관리자는 근무정책 승인·알림을 설정할 수 있어요.

근무 승인 · 참조 종류

  • 좌측 메뉴 하단 [설정] -> [근무 설정] 메뉴를 클릭해주세요.

유형

설명

연장 근무

근무 유형에서 설정한 일 소정 근로시간을 초과할 경우 발생해요.
월 선택적 근무 유형 경우 월 목표 근무시간을 초과한 근무 시간이 등록되면 연장 근무 승인 요청이 발생돼요.

휴일 근무

주휴일(보통 일요일), 공휴일에 근무가 등록되는 경우 발생해요.

야간 근무

오후 10시부터 다음 날 새벽 6시 사이 등록되는 근무가 있다면 발생해요.

과거 근무 수정

설정된 근무 수정 가능 일자(최소 달력일 기준 1일) 를 벗어난 시점에 구성원이 근무를 편집하는 경우 발생돼요. 만약 당일 근무 및 전 날 근무 수정시에도 승인이 발생되게 하고 싶다면 [기본 근무 정책]에도 승인을 설정해주세요.

수정 가능 기한은 1일로 설정할 경우 [달력일 기준으로 1일이 지난] 근무를 수정할 때 승인이 발생돼요.

  • 24년 4월 11일 당일 날 확정된 근무 기록 수정 → 승인 미 발생.

  • 24년 4월 11일, 4월 10일 전날 근무 기록 수정 → 승인 미 발생

  • 24년 4월 11일, 4월 9일 전전날(달력일 기준 1일이 지남) 근무 기록 수정 → 승인 발생

포괄 임금 초과

구성원 프로필 내 임금계약 정보에 입력된 시간을 [월 단위], [가산 시간] 기준으로 계산하여 포괄 임금 시간을 초과한 근무가 등록 되는 경우, 승인 이 발생돼요.

고정 OT 방식이 아닌 총 포괄 방식으로 발생돼요.

법정근로시간 초과

법정근로시간(주 52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발생돼요.

근무지 밖 근무 등록

GPS나 IP로 제한된 근무지 외에서 근무 종료가 진행된 경우 발생돼요. 구성원이 근무지 밖에서 근무 종료를 한 경우, 승인 또는 참조자에게 알림이 가며 근무지로부터 몇 km 떨어진 곳이었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

해당 기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단 가이드를 참고해주세요!

근무 승인 · 참조 설정

  • 승인을 설정할 근무 승인 · 참조 유형 클릭, 결재선을 설정할 수 있어요. 플렉스 승인 설정과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하단 가이드를 클릭해주세요!
    플렉스 승인 구조 이해하기

  • 대상자 추가 후, 승인 단계별 라벨을 변경 할 수 있어요. 아래 예시와 같이 연장 근무가 발생할 경우, 1차 조직장에게 참조 알림 발생. HR팀은 승인이 아닌 [확인]으로 승인 라벨을 변경할 수 있어요.

  • [사유 입력 필수] 활성화를 통해 연장 휴일 근무 등이 등록될 때 사유를 입력해야 근무 등록이 가능하도록 설정이 가능해요.

  • 사유 입력 필수를 활성화 한 경우, 구성원은 실시간 근무 기록(위젯) 또는 근무를 직접 등록시 반드시 ‘사유’를 입력해야 근무 등록이 가능해요.


FAQ

승인권자는 승인 요청 내역을 어떻게 확인하나요?

  • 할 일 탭에서 다음과 같이 승인요청 알림을 확인할 수 있어요.

  • 승인·참조 상태 : 설정된 승인 라인을 확인할 수 있어요.

  • 승인 항목 : 구성원이 등록한 근무 속성을 알 수 있어요.

  • 요청 메세지 : 구성원이 근무 신청 시 직접 입력한 메세지에요.

  • 근무 시간 : 승인 항목의 근무 시간을 확인할 수 있어요.

요청자별 승인이 무엇인가요?

기본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승인 기준보다 앞서, 특정 대상자의 경우 별도의 승인/참조 대상자를 특정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어요

참조만 설정한 경우에도 사유 입력 필수를 설정할 수 있나요?

가능해요!

구성원이 사유를 남기는 메모란에 사유, 목적 등의 내용이 들어갈 수 있게 편집할 수 없나요?

메모란의 양식을 변경할 수 있는 편집은 제한되어있어요. 연장근무나 외근 근무 등록 시 승인 메세지란에 어떤 내용이 들어가야하는지 구성원에게 공지하여 최대한 구성원이 자세히 메모를 남길 수 있도록 가이드 해주세요!

사유 입력이 필수인 정책과 그렇지 않은 정책이 섞여있는 승인이 발생하면 어떻게 되나요?

사유 입력이 필수인 정책이나 근무 승인 항목이 하나라도 있다면 , 반드시 사유를 입력해야 근무를 등록할 수 있어요.

세콤/캡스 연동을 진행하여 ‘근무 확정 건너뛰기’ 기능을 이용중인데 메모를 입력할 수 있나요?

사유 입력이 필수인 정책이나 근무 승인 항목이 하나라도 있다면, 근무 확정 화면을 보여드리고, 구성원은 해당 화면에서 근무 사유를 입력해야 근무를 등록할 수 있어요. 때문에 해당 기능을 활성화하기 전 구성원분들에게 어떤 근무는 사유 입력이 필수이니 세콤/캡스로 근무 종료한 뒤에 모바일 앱에서 사유를 입력해달라는 가이드가 필요해요.

관리자가 구성원의 근무를 대신 등록한 경우에도 사유 입력이 필수인가요?

관리자가 구성원의 근무를 대신 등록/편집 하는 경우에는 승인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사유를 입력할 수 없어요.

구성원은 사유를 어떻게 입력할 수 있나요?

  • 플렉스 웹 내 [내근무]에서 근무를 직접 등록 시, 아래와 같은 화면에서 사유를 입력해야해요.

  • 실시간으로 근무가 등록 중이라면, 근무 종료 시 아래와 같은 화면에서 사유를 입력해야해요.

구성원이 입력한 사유는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좌측 메뉴 [근태관리] → 우측 상단 [근무 기록 관리] → 일별 근태 기록 다운로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요. 구성원이 입력한 사유는 [홈피드 캘린더] 및 [구글 캘린더]에는 연동되지 않아요.

사유 입력이 필수로 되어있지 않고 선택사항이나 구성원이 근무 등록시 사유 입력하는 메모가 아예 나타나지 않는다고 해요. 어떻게 해결할 수 있나요?

구성원이 아래와 같이 구성원이 사유 입력창을 보지 않기 설정을 해두었을 수 있어요. 사유 입력란이 다시 뜨게 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은 설정을 따라주세요

PC에 설정이 저장된 상태라 원복하시려면 직접 데이터 삭제를 해주셔야 해요!

  1. 크롬 개발자 도구 열기: 크롬 우측 상단 메뉴 > 도구 더보기 > 개발자 도구 또는 단축키 control + shift + I참고: https://developer.chrome.com/docs/devtools/open?hl=ko

  2. Consol 탭 열기

  3. localStorage.clear(); 입력 후 엔터

  4. 새로고침

위와 같이 진행하시면 사유 입력 화면이 다시 확인되실거에요.

근무 승인이 두 개 이상 발생된 경우, (연장근무 및 과거근무 승인 등) 어떻게 승인이 동작하나요?

연장근무와 과거근무 수정 시 승인 설정을 해 놓으셨고, 구성원이 과거근무 수정 중 연장근무로 근무를 등록한 경우 과거근무와 연장근무 모두 승인이 발생됩니다.

만약 연장근무는 1차 조직장 승인, 과거 근무 수정 시 승인은 1차 조직장 승인 후 인사팀 승인을 받도록 설정하셨다면

하나의 승인 문서에 연장근무 + 과거근무 승인이 같이 발생되는데요.

이에 따라 해당 문서의 결재선도 연장근무 결재선과 과거근무 승인 요청 결재선이 합쳐져서

1단계 : 1차 조직장 승인 후, 2단계 인사팀 승인이 발생됩니다.

근무 승인에 댓글을 남겼는데 삭제 또는 수정이 가능하나요?

작성한 댓글에 마우스를 올려 우측 점 3개 클릭 후, 남긴 댓글 수정/삭제가 가능해요.

답변이 도움되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