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2월 3일부터 급여대장 및 급여집계표가 새로운 양식으로 변경될 예정이에요.
하단 FAQ에서 변경 예정인 급여대장 샘플 파일을 확인할 수 있어요.
급여대장 양식 변경
1. 항목의 설정값을 표시해요
각 항목 이름의 우측으로 항목의 코드가 표시돼요.
기존에는 항목명이 같은 항목이 여러 개면 구분할 수 없었지만, 이제 코드로 구분할 수 있어요.
지급 항목의 과세, 비과세 정보가 표시돼요.
비과세 지급항목의 경우 제출/미제출 여부와 비과세 코드가 함께 표시돼요.
과세총액, 비과세 총액 계산 시 어떤 항목이 사용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
변경 예정인 급여대장 양식 예시 이미지
2. 지급항목의 유형별로 다양한 합산 금액을 볼 수 있어요.
과세 소계
급여 계 : 과세 항목 중 지급항목이 [급여] 유형인 항목을 합산해요.
단, [비과세 항목] 중 비과세 한도 초과분이 있다면 과세 소계 내 급여 계에 함께 합산돼요.
예) 월 한도 20만원인 식비를 50만원 지급한 경우, 30만원은 과세 소계 내 급여 계에 합산
상여 계 : 과세 항목 중 지급항목이 [상여] 유형인 항목을 합산해요.
그 외 계 : 과세 항목 중 급여, 상여로 구분되지 않는 나머지 항목을 합산해요.
해당 항목 : 인정상여,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 임원퇴직소득금액 한도초과액, 직무발명보상금
비과세 소계
제출 비과세 계 : 비과세 항목 중 근로소득 지급명세서로 제출하는 비과세를 합산해요.
미제출 비과세 계 : 비과세 항목 중 근로소득 지급명세서 제출이 면제되는 비과세를 합산해요.
유형별 소계
급여 계 : 과세 항목과 비과세 항목 구분 없이 지급항목이 [급여] 유형인 항목을 모두 합산해요.
상여 계 : 과세 소계의 상여 계와 기준이 같아요.
그 외 계 : 과세 소계의 그 외 계와 기준이 같아요.
급여집계표 양식 변경
FAQ
새로운 양식은 언제부터 적용되나요?
새로운 양식은 언제부터 적용되나요?
2025년 12월 3일부터 일괄 적용될 예정이에요.
과세 총액 및 비과세 총액이 맞지 않은 것 같아요 무엇을 확인해야하나요?
과세 총액 및 비과세 총액이 맞지 않은 것 같아요 무엇을 확인해야하나요?
항목별 속성에는 해당 비과세 항목의 설정값을 보여주지만, “비과세” 중 비과세 한도 초과분이 있다면 과세 금액에 함께 합산돼요. 비과세 한도를 초과한 금액이 있는지 먼저 확인해주세요.
완료된 정산이 여러 건이라면, 현재 정산이 아니라 동일 귀속월에서 정산 완료된 “이전 정산”에서 지급한 금액도 비과세 한도 계산 시에 함께 활용되므로, 현재 정산이 아니라 같은 이전 정산도 함께 확인이 필요해요. 이전 정산을 삭제한 경우에도, 마지막 정산을 별도로 재계산하지 않는다면 이미 계산된 비과세 한도에 영향을 주지는 않아요.
정확한 비과세 한도 계산을 위해서는 정산을 꼭 순서대로 진행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