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원이 본인의 근무시간을 수정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방법은 총 2가지 있어요.
각각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려드릴게요!
근무 편집 권한 설정
근무 편집 권한이란?
위 권한을 회수하면, 구성원은 실시간 출퇴근 기능으로만 근무 기록이 가능해요.
(반복 일정도 등록 불가능)
과거 근무 수정 시 알림 설정
과거 근무 수정 설정이란?
수정 가능 기한이란?
달력일을 기준으로 설정한 지정일 이내 수정시 승인·참조 없이 수정이 가능하고, 지정일 이후에는 관리자에게 승인·참조가 발생해요.
수정 가능 기한은 최소 1일부터 7일까지 설정할 수 있어요.
예) 수정 가능 기한을 1일로 설정시, 오늘 날짜가 2월 11일이라면
구성원이 2월 11일 근무 등록 후 → 2월 11일 당일 근무 수정 시도 → 승인 발생 안됨
구성원이 2월 11일 전일자인 2월 10일 근무 수정 시도 → 승인 발생 안됨
구성원이 2월 11일 이틀전인 2월 9일 근무 수정 시도 → 승인 발생 됨
즉, 당일과 어제의 근무는 오늘 수정하더라도 별도 승인이 발생하지 않아요.
구성원이 직접 근무 시간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면서 관리자가 편집한 사항을 확인 및 승인할 수 있는 설정방법이 뭔가요?
구성원이 과거 근무 수정 시 발생하는 승인 요청 화면
관리자가 받는 승인·참조 알림 화면
FAQ
과거 근무 수정에서 수정 가능 기한을 0일로 설정할 수 있나요?
과거 근무 수정에서 수정 가능 기한을 0일로 설정할 수 있나요?
아쉽지만 현재 수정 가능 기한은 달력일 기준 최소 1일부터 최대 7일까지만 설정이 가능해요.
때문에 과거 근무 수정 설정을 통해 당일과 전날의 근무 수정도 승인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당일의 근무 수정도 승인이 발생하도록 하고 싶다면, ‘근무 정책’의 승인·참조 설정해 주세요. 이 경우 ‘근무’를 입력 및 수정 했을때 알림이 발생합니다. 다만 ‘근무’ 외 다른 근무 정책(외근, 출장 등)은 근무 수정할 때를 포함하여 실시간 출퇴근 위젯으로 기록했을 때에도 알림이 발생하는 점 참고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