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콘텐츠로 건너뛰기
모든 콜렉션활용 사례구성원 근무 관리 활용 사례
육아기, 임신기 단축근로자 근무 유형 설정 방법
육아기, 임신기 단축근로자 근무 유형 설정 방법
오늘 업데이트함

일반 근무자였던 구성원이 임신기 단축 근로 및 육아기 단축 근로가 필요해서 근무 유형 변경이 필요하다면 아래의 설정에 따라 진행해주세요.

임신기 단축 근로자

임신기 단축 근로는 왜 필요한가요?

임신기 단축 근로제란? 임신 12주 이내 또는 32주 이후의 근로자가 일일 2시간의 근로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 대상 : 임신 후 12주 이내 또는 32주 이후에 있는 여성 근로자

  • 1일 2시간의 근로시간 단축을 신청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허용해야 합니다.
    (근로기준법 제74조제7항 본문)

  • 다만, 1일 근로시간이 8시간 미만인 근로자에 대하여는 1일 근로시간이 6시간이 되도록 근로시간 단축을 허용할 수 있습니다. (법 제74조제7항 단서)

  • 이를 위반하여 근로자로부터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신청을 받았음에도 허용하지 않은 사업주는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법 제116조)

  • [설정] → [근무 유형] → [유형 추가]에서 아래와 같이 일하는 시간을 6시간으로 설정해주세요.

임신기 단축근로는 근로시간을 법적으로 단축하는 것이지만, 이는 근무제도의 한 형태일 뿐 연차휴가 산정 방식을 바꾸지는 않습니다.

즉, 임신기 단축근로를 하는 동안에도 근로자의 원래 계약된 ‘소정근로시간(8시간)’을 기준으로 연차휴가가 부여되어야 해요.

  • [주휴 시간, 휴가 1일 기준 별도 설정]을 활성화 한 뒤, 주휴 시간 및 휴가 1일의 기준시간을 8시간으로 설정해주세요.

육아기 단축 근로자

육아기 단축 근로는 왜 필요한가요?

육아기 단축 근로제란? 만 12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6학년 이하의 자녀가 있는 근로자가 육아휴직 대신, 근로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 대상 : 만 12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6학년 이하의 자녀(입양 자녀 포함)가 있는 남녀 근로자 모두 (『남녀고용평등과일·가정양립지원에관한법률』제19조의2제1항)

  • 기간 : 1년 (단, 육아휴직 미사용 기간 가산 시 최대 2년)

한 자녀에 대하여 남녀 근로자 각각 사용 가능, 1회 사용 가능, 1회의 최대 기간은 3개월 이상

  • 이를 위반하여 근로자로부터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신청을 받았음에도 이를 허용하지 않은 사업주는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받습니다.(법 제39조제2항제6호)

  • 육아기 단축 근무 설정하는 방법

    • [설정] → [근무 유형] → [유형 추가]에서 아래와 같이 일하는 시간을 6시간으로 설정해주세요.

육아기 단축근로는 근로시간을 법적으로 단축하는 것이지만, 이는 근무제도의 한 형태일 뿐 연차휴가 산정 방식을 바꾸지는 않습니다.

즉, 육아기 단축근로를 하는 동안에도 근로자의 원래 계약된 ‘소정근로시간(8시간)’을 기준으로 연차휴가가 부여되어야 해요.

  • [주휴 시간, 휴가 1일 기준 별도 설정]을 활성화 한 뒤, 주휴 시간 및 휴가 1일의 기준시간을 8시간으로 설정해주세요.


답변이 도움되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