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렉스에서는 구성원의 입사일, 퇴사일, 휴직기간에 따라 일할 계산된 시간으로 소정근로시간을 자동 계산하고 있어요. 이번 가이드에서는 구성원의 입사일 기준으로 근무 유형 별 소정근로시간 계산식을 안내해드릴게요.
신규 입사자 소정근로시간 계산식
구성원의 입사일을 기준으로 근무 주기별 소정근로시간을 계산해요.
고정 & 시차 & 교대 근무 유형을 적용 받은 신규 입사자의 소정근로시간 계산식 = 40시간 * 입사일 기준 근무일 수 / 7일
만약 구성원이 24년 5월 22일(수) 입사했다면 소정근로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돼요.
24시간 = 40시간 * 3일 / 7일
퇴사자 소정근로시간 계산식
구성원의 퇴직일이 등록되면 퇴직일을 기준으로 근무 주기별 소정근로시간을 계산합니다.
고정 & 시차 & 교대 근무 유형을 적용 받은 퇴사 예정자의 소정근로시간 계산식 = 40시간 * 퇴사일 기준 근무일 수 / 7일
24년 5월 22일(수)이 퇴직일(마지막근무일)인 임퇴직님의 소정근로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휴직자 소정근로시간 계산식
구성원의 휴직기간을 등록하면 휴직시작과 종료일을 기준으로 근무 주기별 소정근로시간을 계산합니다.
고정 & 시차 & 교대 근무 유형을 적용 받은 휴직자의 소정근로시간 계산식 = 40시간 * 휴직일 기준 근무일 수 / 7일
24년 5월 22일(수) 휴직 마지막일인 임휴직님의 소정근로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선택적 근무 유형의 소정근로시간 계산식
선택적 근무 유형은 중도 입사자, 퇴사자, 휴직자의 소정 근로 시간은 입사, 퇴사, 휴직일을 기준 주기별 정산 기간 일수로 계산하고 있어요!
선택적 근무 유형의 중도 입사자, 퇴사자, 휴직자의 소정근로시간 계산식 = 40시간 * 입사/퇴사/휴직일 기준 정산기간 일수 / 7일 이에요.
24년 5월 22일(수) 입사한 임선택님의 소정근로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