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콘텐츠로 건너뛰기

재직자 및 퇴직자 정산용 잔여 연차 조정 기능 업데이트

1주 전에 업데이트함

좌측 메뉴 [근태관리] -> [휴가 관리] -> [휴가 보유 현황] 탭 우측 상단 [휴가 조정하기]를 클릭하여 재직자 및 퇴직자의 잔여 연차를 확인하고, 필요한 만큼 차감 조정 및 정산을 진행할 수 있어요.

필요 권한 : [휴가] 관련된 모든 권한을 부여 받거나, [휴가 조회] + [휴가 편집] + [연차 정책 및 촉진 관리] + [맞춤 휴가 관리] 권한을 부여 받은 관리자는 재직자 및 퇴직자 정산용 잔여 연차 조정 기능을 이용할 수 있어요.

공통

  • 잔여 연차 조정 및 정산은 크게 두 단계로 이루어져요.

    1. 조정 단계: 잔여 연차를 확인하고, 정산을 통해 차감할 분량을 연차 조정으로 기록에 남겨요

    2. 정산 단계: 조정으로 차감한 만큼을 급여로 보상해요.

  • 예를 들어, 2024년 부여분 중 잔여 연차가 5일 남았다면,

    1. 먼저 연차에서 -5일 조정 (차감 조정) 을 진행한 후,

    2. 차감한 5일만큼을 급여에서 보상하는 순서에요.

재직자 정산용 잔여 연차 조정

  • [재직자 정산용 잔여 연차 조정]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 설정한 [정산 귀속월] 에 따라 어느 월 급여에 귀속시킬지 정할 수 있어요.

    • 해당 조정 내역은 [정산 귀속월] 과 동일한 귀속월을 갖는 급여 정산에서 자동으로 지급 대상으로 불러와져요.

  • 설정한 [사용 마감일] 기간 내에 마지막 사용 가능 일자가 존재하는 연차가 정산 대상이에요.

    • 사용 마감일은 정산 귀속월과 별개로 선택할 수 있어요.

재직자 잔여 연차 조정 이미지 예시는 아래와 같아요.

  • 이 예시에선 2025년 1월 귀속 급여 작업 시 해당 내역이 불러와져요.

  • 이 예시에서 연차정책 별로 2024년 12월 중 마지막 사용 가능 일자가 들어오는 다음 연월차에 대해 정산을 수행해요.

  • 2023년 12월 중 입사자에게 부여된 월차 (입사일 + 1년 - 1일까지 사용 가능)

  • 입사일 기준 부여 정책에서 2023년 12월 중 입사일에 부여한 연차 (부여일 + 1년 - 1일까지 사용 가능)

  • 회계일 기준 부여 정책에서 2024년 1월 1일에 부여한 연차 (2024년 12월 31일까지 사용 가능)

1. 자동 계산되는 잔여 연차

  • 등록된 사용, 촉진, 기존 조정량을 자동으로 제외한 잔여 연차가 계산돼요. 미사용 연차가 남았다면 잔여를 0으로 맞추도록, 당겨쓰기로 초과 사용 한 경우는 별도 조정 없이 내년으로 넘기도록 자동으로 조정 및 정산량을 계산해줘요. 원한다면 직접 수정도 가능해요.

2. 차감량 수정 및 예상 지급량 확인

  • flex에 등록되지 않은 차감량을 입력하고, 예상 수당 지급량을 확인해요. 만약 어떤 이유에서든 시스템에 미등록된 사용, 촉진, 정산 내역이 있다면, 정산 시점에 분량만 입력하고 사유를 남기면 돼요

3. 내역에서 언제든지 이력 조회

  • 조정했던 그대로 다시 확인할 수 있어요. 사유 편집 및 전체 혹은 일부 구성원만 취소도 가능해요.만약 flex 급여 정산을 구독하지 않는다면, 조정 내역을 엑셀로 다운로드 받아 정산에 활용할 수 있어요.

4. 급여 정산에서 지급량 불러오기

  • flex 급여 정산에서 조정했던 잔여 연차량을 자동으로 불러와 정산할 수 있어요. 급여 정산의 변동 지급 항목 중 ‘재직자 연차수당’으로 조정한 연차량이 자동으로 불러와져요.

퇴직자 정산용 잔여 연차 조정

  • 좌측 메뉴 [근태관리] -> [휴가 관리] -> [휴가 보유 현황] 탭 우측 상단 [휴가 조정하기] 클릭, [퇴직자 정산용 잔여 연차]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 [퇴직자 정산용 잔여 연차 조정] 버튼으로 재직자 정산을 수행할 수 있어요.

  • 설정한 [퇴직일]기간에 따라 정산을 수행할 퇴직자를 불러올 수 있어요.

    • 해당 조정 내역은 그 퇴직자가 포함되는 급여 정산에서 자동으로 지급 대상으로 불러와져요.

    • 아래 예시에선 2025년 7월 퇴직자가 포함되는 급여 작업 시 해당 내역이 불러와져요.

1. 근로기준법 기준과 비교

  • 좌측 메뉴 하단 [설정] -> [연차 설정] -> [퇴사자 연차 조정 기준 설정] 클릭

  • 근로기준법과 회사 정책 기준 부여량 중 조정 기준을 설정하고 비교해요. 근로기준법 기준보다 더 많이 부여했을 때 근로기준법 기준으로 재정산할지, 회사 정책에 따른 부여량 기준으로 정산할지 설정할 수 있어요.

2. 퇴직자의 도입 전 연차까지 확인

  • flex 도입 전에 입사한 구성원 연차도 자세히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어요. 만약 도입 전 사용, 촉진, 정산 내역이 플렉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정산 시점에 분량만 입력하고 사유를 남기면 돼요.

3. 내역에서 언제든지 이력 조회

  • 조정했던 그대로 다시 확인할 수 있어요. 사유 편집 및 전체 혹은 일부 구성원만 취소도 가능해요. 만약 flex 급여 정산을 구독하지 않는다면, 조정 내역을 엑셀로 다운로드 받아 정산에 활용할 수 있어요.

4. 급여 정산에서 지급량 불러오기

  • flex 급여 정산에서 조정했던 잔여 연차량을 자동으로 불러와 정산할 수 있어요. 급여 정산의 변동 지급 항목 중 [퇴직자 연차수당]으로 조정한 연차량이 자동으로 불러와져요.


FAQ

별도로 진행한 촉진 내역이 flex 에는 등록되어 있지 않은데, 이걸 고려한 정산이 가능한가요?

네, 가능합니다. 만약 flex 밖에서 진행한 촉진이 존재한다면 재직자 및 퇴직자 정산 중 ‘촉진’ 열값에 잔여분 중 촉진 대상을 직접 입력할 수 있어요.

기존에 존재하던 ‘미사용연차수당’ 지급 항목은 어떻게 되나요?

기존에 사용하던 미사용연차수당과, 고객이 추가해 사용하던 다양한 명칭의 연차수당은 사용 종료돼요. 필요한 경우 [사용하지 않는 항목 보기] → [항목 재사용]을 통해 계속 사용할 수는 있어요. 커스텀 연차수당 보다는 새로 업데이트된 재직자 연차수당과 퇴직자 연차수당을 용도에 맞게 사용하시기를 권고 드려요.

개편 관련해서 문의사항이 있습니다. 어떻게 문의하면 될까요?

flex 내 우측 하단 플렉스 로고를 클릭하여 실시간 채팅을 남겨주세요.

답변이 도움되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