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콘텐츠로 건너뛰기

퇴직자 잔여 연차 조정

최소 한 달 전에 업데이트됨

퇴사자의 부여, 사용, 잔여 연차를 확인하고, 필요한 만큼 차감 조정 및 정산을 진행할 수 있어요.
​관련해 자세한 사항은 하단 가이드를 클릭해 확인해주세요!
(재직자 및 퇴직자 정산용 잔여 연차 조정이란?)

필요 권한 : [휴가] 관련된 모든 권한을 부여 받거나, [휴가 조회] + [휴가 편집] + [연차 정책 및 촉진 관리] + [맞춤 휴가 관리] 권한을 부여 받은 관리자는 재직자 및 퇴직자 정산용 잔여 연차 조정 기능을 이용할 수 있어요.

퇴직자 잔여 연차 조정

  • 좌측 메뉴 [근태관리] - [휴가관리] - [연차 조정] 클릭, [퇴사자 정산용 잔여 연차 조정]을 클릭해주세요.

  • [퇴직일] [대상자]를 선택 후, [조정 시작하기]를 클릭해주세요. 조회한 기간 내 퇴직한 구성원을 불러와요.

    • 하단 [조정 사유]는 해당 조정 건에 대한 사유로, 잔여 연차 조정 확정 화면 및 조정 엑셀 내역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퇴직자 잔여 연차 조정 화면 보기

  • 조회한 구성원 중 flex 도입보다 입사일이 빠를 경우 주의 사항 아이콘을 확인할 수 있어요.

주의 사항 아이콘이 왜 표기되나요?

flex 도입 전 회사에 입사한 구성원 경우, flex 도입 전 사용했던 휴가 기록 등이 flex에 반영되지 않았을 수 있어요. 반영 되지 않은 사용, 촉진, 기조정(차감) 양을 확인하여 필요시 반영해주세요.

  • 연차 정책 열에서 구성원별 적용 받고 있는 연차 정책과, 상세 설정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요.

퇴직자 잔여 연차 조정하기

가상 회사의 연차 정책

  • 월차는 매 월 입사일에 맞춰 1개씩 생성됩니다.

  • 기본적으로 회계일(1월 1일)을 기준으로 연차를 지급합니다.

  • 다만, 계약직 경우에는 입사일을 기준으로 연차를 지급합니다. (예 : 김퇴직 4)

  • [퇴직자 연차 조정 기준 설정] 에서 구성원에게 유리한 기준으로 적용 설정이 되어있습니다.

  • 위 가상 회사 정책에 따라 김퇴직 1은 입사일 이후부터 퇴직 전까지 회사 정책 기준(회계일 기준) 총 57.78일의 휴가를 부여 받았어요. 그러나 근로기준법 기준(입사일 기준)으로 부여 받았다면 57개의 연차를 부여받았을거에요.

  • 퇴직자 연차 조정 기준 설정에 따라, 김퇴직 1은 회사 정책 기준(회계일 기준)이 더 유리한기 때문에 부여 합계 열에 회사 정책 기준으로 받은 수량이 표기됐어요.

Q : 우리 회사는 재직 중에는 회계일 기준으로 연차를 지급해도, 퇴사시에는 입사일 기준으로 연차를 재정산 해요. 이런 경우에 항상 근로기준법 기준으로 정산 기준을 맞출 수 있나요?

A : 네, 정산 기준을 설정하시면 돼요. 자세한 사항은 하단 FAQ를 참고해주세요.

  • 우측 [차감] 열에서는 구성원이 플렉스에서 사용, 촉진 된, 기조정(차감)된 수량을 확인할 수 있어요.

  • 우측 목록 아이콘 클릭, 휴가 사용 및 차감 내역을 상세히 확인할 수 있어요.

  • 퇴직자 잔여 연차 조정시 자동으로 부여 합계에서 차감 합계를 뺀 수량이 잔여 수량이 돼요. 또한, [조정] 열에는 최종 숫자를 0으로 맞추기 위해 잔여 수량 그대로 조정 수량에 반영됩니다.

    • 조정량 수정이 필요하다면 수정 후 사유를 입력해주세요.

  • 조정 열에 입력한 값은 급여 정산 시 반영되는 미사용 연차 수당 일수를 의미해요.

조정 입력 값

예시

의미

결과

- 숫자 (음수)

-23.78 입력

입력한 숫자 만큼 미사용 연차 수량으로 판단하여 수당으로 지급

미사용 연차 23.78일분 을
연차수당으로 지급

숫자 (양수)

23.78 입력

입력한 숫자 만큼 당겨쓰기 한 수량으로 판단하여 수당에서 차감

추가 사용한 연차 23.78일 분을
연차수당으로 차감하여 급여액이 줄어듦

조정 열에 -23.78일이 입력되어있다면 급여정산시 어떻게 계산되나요?

  • [퇴직자 연차수당] 지급 수당에서 아래와 같이 미사용 연차일수는 23.78일로 미사용 연차일수 × 1일 소정근로시간 × 통상시급 = 3,578,131원으로 계산돼요.

  • 조정 완료 후 우측 상단 [조정하기] 클릭, 내역을 바로 확인하거나 조정한 내역을 엑셀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어요.

flex 도입 이전 사용, 촉진 수량 입력하여 퇴직자 잔여 연차 조정하기

flex 도입 전에 입사한 구성원 연차도 자세히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어요. 만약 도입 전 사용, 촉진, 정산 내역이 플렉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정산 시점에 분량만 입력하고 사유를 남기면 돼요.

  • flex 도입 전에 입사한 구성원 경우 주의사항 표기를 확인할 수 있어요. [상세 열기] 클릭, 도입 전 사용, 촉진, 정산 내역을 등록해주세요.

  • flex 이전/ 이후 구성원 입사일과 퇴사일에 따라 부여 받은 연차 수량과 조정 기능을 통해 추가 부여된 된 수량에 대해서 상세히 확인할 수 있어요.

  • [차감] 열에서 flex 도입 이전 사용, 촉진한 수량을 입력하여 잔여 수량을 조정할 수 있어요. 수량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잔여] 수량과 [조정] 수량이 변경돼요.

    • flex 이전 [사용] 열에는 플렉스에 반영하지 않은 구성원이 사용한 수량을 입력해주세요.

    • [촉진] 수량은 촉진 대상 전체 연차 수량이 아니라, 촉진은 했지만 구성원이 실제로 사용하지 않아 보상 의무가 면제되는 수량을 입력하는 칸입니다.

      • 7월 1일, 촉진 대상 연차: 8개

      • 7월 1일 ~ 12월 31일 동안 실제 사용 연차: 5개

      • 남은 3개는 연차 촉진을 했으므로 미사용 연차 수당 보상 의무가 없음
        → [촉진] 수량에 3 입력

    • 기조정(차감) : 연차 조정 기능을 통해 차감된 수량 (자세히 알아보기)


FAQ

퇴직자 잔여 연차 조정시 회사 정책으로 지급한 수량이 더 많이 준 것 같아요. 근로기준법 기준으로 정산하기 위해서 어떻게 설정해야하나요?

  • 좌측 메뉴 하단 [설정] - [연차설정] - [퇴직자 연차 조정 기준 설정] 클릭,

  • 퇴직자 연차 조정 기준을 항상 구성원에게 유리한 기준으로 적용할지, 근로기준법 기준으로 적용할지를 선택할 수 있어요. 만약, 취업규칙 등에 우리 회사는 퇴사시 '입사일' 기준으로 재정산하여 미 사용연차 수당을 정산한다. 라고 되어있다면 [항상 근로기준법 기준으로 적용] 옵션을 선택 후 저장해주세요.

조정 내역 화면에서 원하는 정보만 볼 수 없나요?

  • 조정 내역 화면에서 원하는 정보가 확인하고자 한다면, 우측 상단 [조회 정보 설정] 아이콘 클릭 후 항목별 우측 눈 아이콘을 클릭해 정보를 숨길 수 있어요.

잔여 연차 조정 화면 내 기조정(부여), 기조정(차감) 내역은 어디서 볼 수 있나요?

잔여 연차 조정 화면 내 기조정(부여), 기조정(차감) 내역은 구성원 연차 상세 내 [조정] 열에 표기된 조정 수량을 뜻해요.

  • 퇴직자 잔여 연차 조정 화면 내 기조정(부여), 기조정(차감) 내 목록 아이콘을 클릭해 조정 내역을 확인할 수 있어요.

  • 또는, 구성원별 연차 상세 또는 [근태관리] -[휴가관리]-[연차조정]-[연차 조정 내역]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퇴직자 잔여 연차 조정 내역(화면)은 임시저장 할 수 없나요?

퇴직자 잔여 연차 조정 내역은 임시저장을 현재 지원하지 않아요. 화면을 벗어날 경우 조정 내역이 저장되지 않고 초기화 되니 주의해주세요.

퇴직자 잔여 연차 조정을 엑셀로도 진행할 수 있나요?

  • 우측 상단 [엑셀] 아이콘 클릭 후, 엑셀 템플릿을 다운로드 받아 진행할 수 있어요.

  • 다운로드 받은 엑셀 템플릿의 양식은 편집하지 마세요. 또한, [수정 가능] 이라고 되어있는 열만 수정 후, 업로드해야 정상적으로 반영돼요. [읽기 전용]으로 되어있는 열은 엑셀 파일을 업로드해도 반영되지 않아요.

잔여 연차 조정 중에 대상자를 제외하거나 추가할 수 있나요?

  • 좌측 체크박스 클릭 후, 하단 [대상자 제외]를 클릭해 대상자를 제외할 수 있어요.

  • 우측 상단 사람 아이콘 클릭, 잔여 연차 조정 대상자를 추가할 수 있어요. 그러나 퇴사일 조회 에 포함되는 구성원이 더 이상 없다면, 조정 대상자를 추가할 수 없어요.

[조정하기]를 눌렀더니, [확인 필요]라고 뜨면서 조정 내역이 확정되지 않아요.

  • flex 도입 이전에 입사한 구성원이 있으나, 조정 내역 화면에서 해당 구성원의 연차를 상세 확인 하지 않는 경우 다시 한 번 검토를 위해 확인 필요라고 뜰 수 있어요.

    • 우측 [확인 필요] 라고 뜨는 구성원 목록 확인 후, 우측 [연차 상세 보기] 또는 좌측 [상세 열기]를 통해 구성원의 연차 부여, 사용 현황 등을 상세히 확인 후 우측 상단 [반영하기]를 클릭해주세요.

    • 이후, 우측 상단 [조정하기]를 클릭해주세요.

조정 내역을 수정하거나 수정이 필요한 대상자 경우 조정을 다시 진행할 수 있나요?

  • 조정 내역 수정 및 조정 이력이 이미 있는 구성원의 조정을 다시 진행하는 것은 지원하지 않아요.
    조정 내역 수정 및 조정 이력이 있는 구성원의 조정 재진행이 필요한 경우, 조정 내역에서 조정 취소 후, 조정을 진행해주세요.

퇴사자 잔여 연차 조정 기능을 통해 퇴사 예정자의 연차를 미리 조정하고 싶으나 퇴사 예정자가 조회되지 않아요.

구성원의 퇴사일이 미래로 설정되어있어, 현재 [퇴사 예정자]인 경우

퇴직일 조회 범위 설정시, 구성원의 퇴사일을 선택 또는 포함하여 기간을 조회해야해요.

답변이 도움되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