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콘텐츠로 건너뛰기

재직자 잔여 연차 조정

어제 업데이트함

당해 연도 미사용 연차 수당 정산 전, 재직자의 남은 연차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차감하거나 조정할 때 사용돼요. 관련해 자세한 사항은 하단 가이드를 클릭해 확인해주세요!
(재직자 및 퇴직자 정산용 잔여 연차 조정이란?)

재직자 잔여 연차 조정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권한이 필요해요.

필요 권한 : [휴가] 관련된 모든 권한을 부여 받거나, [휴가 조회] + [휴가 편집] + [연차 정책 및 촉진 관리] + [맞춤 휴가 관리] 권한을 부여 받은 관리자는 재직자 및 퇴직자 정산용 잔여 연차 조정 기능을 이용할 수 있어요.

재직자 잔여 연차 조정 대상 설정

  • 좌측 메뉴 [근태 관리] -> [휴가 관리] 우측 상단 [연차 조정] 클릭, [재직자 정산용 잔여 연차 조정]을 클릭해주세요.

  • 설정한 [정산 귀속월]에 따라 해당 조정 내역이 어느 월 급여에 반영될지 결정됩니다.

    • flex 급여 정산 이용시, 재직자 잔여 연차 조정 정산 귀속월과 동일한 귀속월을 선택해 정산을 진행하는 경우 자동으로 재직자 잔여 연차 내역을 불러와 정산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재직자 잔여 연차 조정의 정산 귀속월을 2025년 1월로 설정, 이후 2025년 1월 귀속월로 진행하는 급여 정산 시 해당 조정 내역이 자동으로 반영됩니다.

    • flex 급여 정산을 이용하지 않은 경우, 재직자 미사용 연차 수당을 지급할 귀속월을 선택해주세요.

  • [사용 마감일]은 연차가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마지막 날짜를 의미합니다. 설정한 [사용 마감일] 기준으로 소멸되는 연차가 정산 대상에 포함됩니다.

    • [사용 마감일]은 [정산 귀속월]과는 별도로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한 기간 내 소멸 된(소멸 예정인) 연차만 정산에 반영됩니다.

  • 정산 귀속월 및 사용 마감일 설정에 따라 정산을 진행할 전체 대상자를 불러오거나, 조직별로 불러올 수 있어요. 대상자까지 다 설정한 뒤 조정 사유 입력 후 하단 [조정 시작하기]를 클릭해주세요.

재직자 잔여 연차 조정 대상 예시

가상 회사 인사 담당자가 25년 1월 급여정산시 24년 구성원별 미사용한 연차 수당 정산하려고 합니다. 이를 위해 재직자 잔여 연차 조정 대상자를 불러오기 위해 정산 귀속월을 2025년 1월로 설정, 사용 마감일은 정산 귀속월의 전월(2024.12.01 ~ 12.31)로 설정한 경우,

👉 2024년 12월 말일(사용 마감일) 기간 내에 연차 사용 기한이 만료인(혹은 만료 예정인) 구성원이 잔여 연차 조정 대상자에요.

  •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연차가 해당됩니다.

    • 월차 (입사일 기준)

      • 2023년 12월 입사한 구성원이 1년간 받은 월차

      • 월차는 구성원별 입사일 기준으로 부여되며, 최초 부여일로 부터 1년 이내에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 기한이 24년 12월 내 만료인 2023년 12월에 입사한 구성원이 대상자입니다.

    • 연차 (입사일 기준 부여)

      • 2023년 12월 입사자에게 입사일 기준으로 부여된 연차

      • 입사일 기준으로 부여된 연차는 연차를 받은 날로부터 1년 뒤에 만료되기 때문에, 사용 기한이 24년 12월 내 만료인 2023년 12월에 입사한 구성원이 대상자입니다.

    • 연차 (회계연도 기준 부여)

      • 2024년 1월 1일에 부여된 연차

      • 1월 1일이 회계연도인 경우, 부여 받은 해의 마지막 날인 12월 31일에 만료되기 때문에, 2024년 1월 1일에 연차를 부여 받은 구성원이 대상자입니다.

재직자 잔여 연차 조정 화면 보기

  • 조정 화면에서는 기본적으로 조정 대상자의 이름, 사번, 입사일, 적용 받는 연차 정책과 조정 대상 연차를 확인할 수 있어요.

칼럼명

설명

연차 정책

구성원별 적용 받고 있는 연차 정책을 확인할 수 있어요.
우측 아이콘을 클릭해 연차 정책의 상세 설정을 확인할 수 있어요.

대상 정책

조정할 대상 연차를 뜻해요.
위 예시 이미지에서는 2024년에 부여된 연차가 조정 대상이라는 뜻이에요.

  • 조정 화면을 우측으로 이동하면 [부여] 열에서 구성원이 조회한 기간 내 받은 연차 수량을 확인할 수 있어요.

칼럼명

설명

자동 부여

사용 마감일이 귀속된 연도에 구성원별 자동으로 부여된 연차 수량

예시로 고태우라는 구성원은 2024년에 17개라는 연차를 부여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기조정(부여)

연차 조정 기능을 통해 지급된 수량. (연차 조정 기능 가이드)

사용 마감일

자동 부여된 연차의 사용 마감일

예를 들어, 고태우는 회계연도 기준(매년 1월 1일 부여)으로 2024년에 연차 17일을 부여받았습니다. 이 회사는 부여일로부터 1년 뒤 소멸되는 정책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연차는 2024년 12월 31일에 모두 소멸됩니다.

따라서, 2024년 12월 31일이 고태우의 사용 마감일이 되며, 이 날까지 사용하지 않은 연차는 잔여 연차 조정 대상에 포함되어 급여 정산 시 수당으로 지급됩니다.

부여 합계

자동 부여와 기조정(부여) 합계 수량

  • [차감] 열부터 관리자가 수량을 직접 입력 또는 수정할 수 있어요.

칼럼명

설명

사용

구성원이 사용한 연차 수량

촉진

flex 연차 촉진 기능을 통해 촉진을 진행했으나, 촉진된 연차 중 구성원이 사용하지 않은 연차 수량

[촉진] 수량은 촉진 대상 전체 연차 수량이 아니라, 촉진은 했지만 구성원이 실제로 사용하지 않아 보상 의무가 면제되는 수량을 입력하는 곳이에요.

  • 7월 1일, 촉진 대상 연차: 8개

  • 7월 1일 ~ 12월 31일 동안 실제 사용 연차: 5개

  • 남은 3개는 연차 촉진을 했으므로 미사용 연차 수당 보상 의무가 없음
    → [촉진] 수량에 3 입력

기조정(차감)

연차 조정 기능을 통해 차감된 수량 (연차 조정 기능 가이드)

차감 합계

사용, 촉진, 기조정(차감) 합계 수량

재직자 잔여 연차 조정 진행하기

자동 계산되는 잔여 연차

  • 기본적으로 구성원이 받은 연차 수량에서, 사용, 촉진, 기조정(차감)량을 자동으로 제외하여 잔여 연차가 계산돼요.

  • 잔여(미사용 연차)가 남았다면 잔여가 0이 되도록 조정 수량이 자동으로 입력돼요. 원한다면 직접 조정 수량을 수정, 입력할 수 있어요.

  • flex에 등록되지 않은 차감량을 입력하고, 예상 수당 지급량을 확인해요. 만약 어떤 이유에서든 flex에 미등록된 사용, 촉진, 정산 내역이 있다면, 정산 시점에 수량만 입력하고 사유를 남기면 돼요.

사례로 재직자 잔여 연차 조정 진행 및 결과보기

  • 고태우 구성원은 2024년에 17개 연차를 부여 받았으나 사용하지 않아 잔여가 그대로 17개로 확인돼요. 부여 합계 부터 조정 수량까지 자동으로 수량이 입력돼요.

칼럼명

수량 및 설명

부여 합계

17개

차감 합계

0개

잔여 (부여 합계 - 차감 합계)

17개

조정 (미사용연차수당으로 지급할 수량)

-17개

구성원 연차 상세 및 급여정산 결과보기

고태우 구성원에게 미사용한 연차 수량 17개를 모두 미사용 연차 수당으로 지급하기 위해 조정 열에 -17 입력 후, 조정을 완료하면 구성원 연차 상세 및 상세 보기에서 아래와 같이 확인돼요.

  • 급여정산 시, [재직자 연차수당] 항목에서 아래와 같이 미사용 연차일수는 17일로 미사용 연차일수 × 1일 소정근로시간 × 통상시급 으로 계산돼요.


  • 고태우 구성원은 2024년에 17개 연차를 부여 받았으나 사용하지 않아 잔여가 그대로 17개로 확인되었어요. 회사의 정책상 미사용 한 연차 17개를 모두 수당으로 지급하지 않고, 10개만 지급하기로 했다면 아래와 같이 입력할 수 있어요.

칼럼명

수량 및 설명

부여 합계

17개

차감 합계

0개

잔여 (부여 합계 - 차감 합계)

17개

조정 (미사용연차수당으로 지급할 수량)

-10개

조정 사유

자동으로 입력된 조정 수량을 수정한 경우
히스토리를 위해 사유를 상세히 입력해주세요.

구성원 연차 상세 및 급여정산 결과보기

  • 고태우 구성원의 24년도 연차 상세에서 10개만 차감된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 25년도 연차 상세에서는 잔여 7개 이월되었으나 연차 소멸 정책으로 소멸되었어요. 만약, 연차 소멸 기한이 1년 뒤 소멸이 아닌 '유예' 설정이 있었다면 유예 기간 만큼 이용이 가능해요.

    • 우리 회사의 연차 소멸 정책은 1년 뒤 소멸이나 특정 구성원만 이월이 필요한 경우 [조정] 기능을 통해 별도로 조정해주세요.

  • 급여정산 시, [재직자 연차수당] 항목에서 아래와 같이 미사용 연차일수는 10일로 미사용 연차일수 × 1일 소정근로시간 × 통상시급 으로 계산돼요.


당겨쓰기한 사례로 재직자 잔여 연차 조정 진행 및 결과보기

  • 김가나 라는 구성원은 2024년에 15개의 연차를 부여 받았으나, 19개를 사용하면서 결과적으로 총 4일을 당겨썼어요.

칼럼명

수량 및 설명

부여 합계

15개

차감 합계

19개

잔여 (부여 합계 - 차감 합계)

-4개

조정 (미사용연차수당으로 지급할 수량)

0개

4개를 초과사용했기 때문에 미사용연차수당으로 지급할 수량은 0개에요.
조정 수량을 그대로 0개로 두면, 내년에 부여 받을 연차에서 4일이 자동으로 차감돼요.

구성원 연차 상세 및 급여정산 결과보기

  • 25년도에 연차가 15개 부여되었으나, 24년도에 4일을 초과 사용하여 초과사용한 4일 만큼 차감된 것을 연차상세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 당겨쓰기한 수량만큼 연차에서 차감되었기 때문에 급여정산시 재직자 연차 수당은 0원으로 정산할 금액이 없는 것으로 확인돼요.


  • 김가나 구성원이 당겨쓰기한 4일 만큼 25년 1월 귀속 급여에서 차감하고 다음해 연차 15개를 그대로 받기 희망한다면, 조정에 당겨쓰기한 수량 만큼 입력 후 (+n), 사유를 입력해주세요.

칼럼명

수량 및 설명

부여 합계

15개

차감 합계

19개

잔여 (부여 합계 - 차감 합계)

-4개

조정 (미사용연차수당으로 지급할 수량)

+4개

조정 사유

자동으로 입력된 조정 수량을 수정한 경우
히스토리를 위해 사유를 상세히 입력해주세요.

구성원 연차 상세 및 급여정산 결과보기

  • 잔여 연차 조정 결과에 따라 당겨쓰기한 수량만큼 25년도 1월에 받을 연차에서 차감되지 않고 그대로 15개가 부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 또한 24년도 연차 상세 조정 열에서 아래와 같이 확인할 수 있어요.

  • 급여정산 시, [재직자 연차수당] 항목에서 아래와 같이 미사용 연차일수는 -4일로 미사용 연차일수 × 1일 소정근로시간 × 통상시급 으로 계산돼요.
    김가나 구성원 경우에는 약 76만원이 기본급에서 차감될 예정이에요.


  • 정리하자면, 조정 열에 입력한 값은 급여 정산 시 반영되는 미사용 연차 수당 일수를 의미합니다.

조정 입력 값

예시

의미

결과

- 숫자 (음수)

-3 입력

입력한 숫자 만큼 미사용 연차 수량으로 판단하여 수당으로 지급

미사용 연차 3일분을 연차수당으로 지급

숫자 (양수)

3 입력

입력한 숫자 만큼 당겨쓰기 한 수량으로 판단하여 수당에서 차감

추가 사용한 연차 3일분을 연차 수당으로 차감하여 급여액이 줄어듦

  • 조정 완료 후 우측 상단 [조정하기] 클릭, 내역을 바로 확인하거나 조정한 내역을 엑셀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어요.


FAQ

재직자 잔여 연차 조정시 대상자를 불러오기 위해 조직을 선택했으나 구성원이 확인되지 않아요

  • 구성원이 선택한 조직에 발령이 되어있는지 확인해주세요.

  • 또한, 재직자 및 퇴직자 잔여 연차 조정 기능은 급여정산과 연관이 있는 기능인 만큼 원활한 이용을 위해 구성원별로 사번을 부여해주세요.
    사번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플렉스에서 사용할 사번을 임의로라도 부여해주셔야만 해요.

조정 내역 화면에서 원하는 정보만 볼 수 없나요?

조정 내역 화면에서 원하는 정보가 확인하고자 한다면, 우측 상단 [조회 정보 설정] 아이콘 클릭 후

항목별 우측 눈 아이콘을 클릭해 정보를 숨길 수 있어요.

잔여 연차 조정 화면 내 기조정(부여), 기조정(차감) 내역은 어디서 볼 수 있나요?

잔여 연차 조정 화면 내 기조정(부여), 기조정(차감) 내역은 구성원 연차 상세 내 [조정] 열에 표기된 조정 수량을 뜻해요.

  • 재직자 잔여 연차 조정 화면 내 기조정(부여), 기조정(차감) 내 목록 아이콘을 클릭해 조정 내역을 확인할 수 있어요.

  • 또는, 구성원별 연차 상세 또는 [근태관리] -[휴가관리]-[연차조정]-[연차 조정 내역]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재직자 잔여 연차 조정 내역은 임시저장 할 수 없나요?

재직자 잔여 연차 조정 내역은 임시저장을 현재 지원하지 않아요. 화면을 벗어날 경우 조정 내역이 저장되지 않고 초기화 되니 주의해주세요.

재직자 잔여 연차 조정을 엑셀로도 진행할 수 있나요?

  • 우측 상단 [엑셀] 아이콘 클릭 후, 엑셀 템플릿을 다운로드 받아 진행할 수 있어요.

  • 다운로드 받은 엑셀 템플릿의 양식은 편집하지 마세요. 또한, [수정 가능] 이라고 되어있는 열만 수정 후, 업로드해야 정상적으로 반영돼요. [읽기 전용]으로 되어있는 열은 엑셀 파일을 업로드해도 반영되지 않아요.

flex 연차 촉진을 완료해 보상 의무가 면제된 수량으로 최대 잔여 연차량만큼 면제된다는게 무슨 뜻인가요?

  • 차감 [촉진] 열에는 연차 촉진을 완료하여 보상 의무가 면제된 수량이 표시됩니다.

  • 예를 들어, 김가나 구성원의 경우 2024년도 촉진 대상 수량이 총 15개 였어요.

    • 실제 사용: 1개

    • 잔여 연차 조정 화면 표시: 촉진된 15개 중 1개를 사용했으므로, 나머지 14개는 촉진을 통해 보상 의무가 면제된 것을 의미하여 14개로 표기돼요. 만약 촉진된 수량 15개 중 10개를 사용했다면, 보상 의무가 면제되는 수량은 5개로 표시됩니다.

잔여 연차 조정 중에 대상자를 제외하거나 추가할 수 있나요?

  • 좌측 체크박스 클릭 후, 하단 [대상자 제외]를 클릭해 대상자를 제외할 수 있어요.

  • 우측 상단 사람 아이콘 클릭, 잔여 연차 조정 대상자를 추가할 수 있어요. 그러나 대상자 설정 에 따라 적합한 대상자가 없다면 조정 대상자를 추가할 수 없어요.

별도로 진행한 촉진 내역이 flex 에는 등록되어 있지 않은데, 이걸 고려한 정산이 가능한가요?

  • 네, 가능합니다. 만약 flex 밖에서 진행한 촉진이 존재한다면 재직자 및 퇴직자 정산 중 ‘촉진’ 값에 잔여분 중 촉진 대상을 직접 입력할 수 있어요.

잔여 연차 조정 대상자 중에 일부 대상자만 조정을 확정할 수 있나요?

  • 우측 상단의 [조정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불러온 모든 조정 대상자 내역이 한 번에 조정됩니다.

    따라서 특정 구성원만 선택하여 부분 조정하는 기능은 제공되지 않습니다. 만약 일부 구성원만 조정하고 싶다면, 조정 대상자 목록에서 일부 구성원 외 다른 구성원은 대상자 제외를 통해 목록에서 삭제 후 이용해주세요.

우리 회사는 연차촉진을 진행하나 미사용 연차 중 n개까지는 수당으로 지급한다는 정책이 있어요. 이럴 경우 재직자 잔여 연차 조정을 어떻게 이용할 수 있나요?

  • 가상 회사 A는 연차 촉진을 진행하나 잔여 연차 수량 중 3개까지는 미사용연차 수당으로 지급하는 정책이 있을 경우 구성원별 잔여 수량을 확인 후, 조정 수량에 -3을 입력해주세요. flex 급여정산 시 3일만큼 자동으로 미사용연차수당이 계산돼요.

조정 내역을 수정하거나 수정이 필요한 대상자 경우 조정을 다시 진행할 수 있나요?

  • 조정 내역 수정 및 조정 이력이 이미 있는 구성원의 조정을 다시 진행하는 것은 지원하지 않아요.
    조정 내역 수정 및 조정 이력이 있는 구성원의 조정 재진행이 필요한 경우, 조정 내역에서 조정 취소 후, 조정을 진행해주세요.

답변이 도움되었나요?